고지혈증이란? 증상과 원인분석

고지혈증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을때를 말합니다. 고지혈증은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자칫 방치하기 쉬운데, 잘못하면 심혈관 질환과 같은 건강문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오늘은 고지혈증의 정의와 증상, 그리고 원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고지혈증이란 무엇인가?

고지혈증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상태로 특히 나쁜 콜레스테롤로 불리는 LDL 콜레스테롤 과 중성지방(Triglyceride)이 높은 경우를 말합니다. 현재에 한국인 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추세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고 예방하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고지혈증의 주요 증상

여러분은 아마도 '침묵의 살인자' 라는 말을 들어본적이 있을텐데요. 바로 고지혈증의 별명입니다. 초기에는 아무런 자각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동맥경화 등 심각한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피로감과 무기력 : 혈관 내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되면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게 되지않아 산소와 영양소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에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무기력해지기도 합니다. 
  • 가슴 통증 : 혈관에 지방이 많이 쌓여 동맥경화로 발전하여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기 때문에 가슴 통증 이나 답답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손발 저림과 시린 느낌 : 동맥 경화 로 인해 손발 끝까지 피가 원활 이 흐르지 못하기 때문에 손발이 시리거나 저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황색종 : 눈꺼풀이나 손, 발가락, 무릅 부위에 노란색의 피부 지방이 나타납니다. 이는 지방이 피부 아래 축적되어 생기는 증상입니다. 

고지혈증의 주요 원인

고지혈증의 주요원인은 유전적 요인, 식습관, 운동부족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있습니다. 특히 현대인의 식습관으로 인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고지혈증을 유발시키는 주요 원인 몇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잘못된 식습관 

  • 고지방,고칼로리 식단 :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이 많은 음식을 먹는경우 체내 콜레스테롤을 높여 고지혈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특히 튀긴음식,가공음식, 패스트 푸드는 중성지방 수치를 급격히 높이는 요인이 됩니다. 
  • 당분 과다 섭취 : 설탕이나 과일주스, 탄산음료, 당분이 많이 들어있는 디저트 등은 간에서 중성지방으로 바뀌기 때문에 고지혈증 환자는 주의해야 합니다.

2. 운동부족 

운동이 부족하면 우리몸의 칼로리가 제대로 소모되지 않아 중성지방 축적의 원인이 됩니다. 운동은 우리가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고있는 HDL 수치를 높이고 중성지방 수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기때문에 규칙적인 운동은 고지혈증을 예방과 관리에 꼭 필요한 요소입니다.

3. 흡연과 음주

  • 흡연 : 흡연 은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을 감소시키고 혈관 건강을 해치기 때문에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이 때문에 흡연은 고지혈증에 아주 좋지 않습니다. 
  • 과도한 음주: 술은 중성지방 수치로 높이고 간 건강에 악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지나친 음주는 고지혈증에 좋지않으므로 적당한 음주 습관이 필요합니다. 
4. 유전적 요인
유전적 요인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것 이기에 조기 관리가 필요합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 고지혈증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고지혈증 관리 및 예방 

고지혈증의 관리 및 예방을 위해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식습관 조절 

채소와 과일, 통곡물 위주의 음식을 먹으며 특히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이 적은 음식을 섭취합니다.

2. 규칙적인 운동

주 3-4회, 30분이상의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합니다.

3. 금연과 절주 

담배는 반드시 끊고 술은 적당히 마시는것이 고지혈증을 관리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4. 정기 건강 검진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하여 조기에 고지혈증을 발견하여 관리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마무리

고지혈증은 초기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방치 하기 쉽습니다. 고지혈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식습관 개선, 규칙적인 운동, 금연, 정기 검진 등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우리의 혈관을 지켜 건강한 생활을 누리시기를 바랍니다.